Search

뉴턴의 무정한 세계

뉴턴의 무정한 세계 - 우리 역사에서 다시 시작하는 과학 공부

정인경 지음
무선 150*215 | 280쪽
분류 과학사
가격 18,000원
ISBN 979-11-89680-44-2
초판 1쇄 발행 2023년 7월 1일

구매처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리뷰

책 소개

과학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와 우리 자신에 대해 알려주는 학문이다. 하지만 과학이 생산된 역사적 맥락을 경험하지 못한 우리에게 과학은 그저 먼 나라 이야기일 뿐이었다. 서양의 근대과학은 세계를 변화시킨 지식이지만, 이러한 과학을 수입해서 배우기 전에 우리의 관점과 입장을 단단히 다져야 했다.
우리가 여전히 과학을 멀고 어렵게 생각하는 것은 과학기술과의 만남부터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이광수, 염상섭, 박태원, 이상 등의 작품을 통해 근대 과학이 도입된 시대상을 살피며, 과학에 대한 새로운 눈을 떠 보자. 한낱 지식에 지나지 않는 과학을 넘어, 삶을 위한 과학으로의 첫걸음을 떼 보자.

출판사 리뷰

고전역학에서 천문학, 생물학, 전자기학, 양자역학까지뉴턴과 갈릴레오, 다윈, 패러데이와 에디슨,아인슈타인이 발견한 새로운 세계를우리의 눈으로 다시 본다
우리 민족과 과학의 잘못된 만남
본디 과학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와 우리 자신에 대해 알려주는 학문이다. 하지만 과학이 생산된 역사적 맥락을 경험하지 못한 우리에게 과학은 먼 나라 이야기처럼 생소한 이야기였다. 서양에서 발견된 과학기술은 전쟁과 군사기술이라는 형태로 세계로 전파되었고, 동아시아의 서양이 되고 싶었던 일본은 과학기술을 통해 식민지 조선으로부터 군사적·경제적 이득을 취하고자 했다.
1901년 한국에 대한 통치권을 얻은 일본은 독점적으로 근대 과학기술을 도입해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한국 내에서는 기본적인 과학기술도 제대로 가르치지 않다가, 군사적 필요에 의해 식민지 조선인들을 활용해야 하는 상황이 되자, 근대적인 과학기술을 배우게 하기 위해 일본으로 유학을 보냈다. 한국인 과학자들은 원치 않게 일본의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식민지 시대 문학에 비추어보는 과학사
이 책은 한국 과학사와 서양 과학사를 교차시키는 새로운 시도를 했다. 먼저, 우리 역사에서 과학과 관련된 이야기를 찾았다. 이광수, 염상섭, 박태원, 이상 등의 문학 작품에 비춰진 식민 지배 상황을 모티브로 삼아 과학기술이 이러한 역사 상황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다음으로 서양 과학사를 낯설게 보기 시작했다. 이 책에서 다루는 과학의 내용은 과학사에서 누구나 꼭 알아야 할 것들이다. 뉴턴과 갈릴레오, 다윈, 에디슨, 패러데이, 아인슈타인 등이 발견한 과학의 성취와 그 짜릿한 열매들은 세상을 바꾸었다. 미지의 세계는 앎의 장으로 변모했다.
한국 과학사와 서양 과학사를 교차시킨 것은 우리의 관점을 가지고 과학의 핵심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다. 식민지 역사라는 어두운 과거를 들춰내는 것은 고통스럽지만, 과학도 결국 우리 삶의 문제였음을 역사가 말해 주고 있다. 뉴턴과 다윈의 과학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다름 아닌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것이다.
지배의 언어에서 해방의 언어로, 삶을 위한 과학으로가슴으로 읽는 과학책
과학은 실재하는 세계를 설명하며 세계의 이치를 파악하게 하는 언어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과학을 지식의 측면으로만 접근하고 있다. 이제 우리가 과학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생긴 문화적 열등감과 아픈 상처를 되살피고, 지식을 위한 과학이 아닌 삶을 바꾸는 과학을 만나보자. 이 책을 읽은 후, 우리는 과학을 ‘느끼게’ 될 것이다.

추천의 글

『뉴턴의 무정한 세계』는 우리가 과학을, 과학책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하나의 기준과 방법을 제시한다. 과학 이론을 이해하려는 노력 못지않게 역사와 사회에 관한 관점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뉴턴에서 이광수의『무정』을, 다윈의 진화론에서 염상섭의「표본실의 청개구리」를, 아인슈타인에서 이상의「날개」와 같은 시를 읽어내지 못한다면 우리가 과학책을 교양서로 읽을 이유가 무엇이냐고 책은 반문한다. 결국, 과학책은 우주와 역사와 인간에 관한 고찰과 탐구이기 때문이다.  - 브런치 “책방아저씨”
무엇보다도 높게 평가하고 싶은 것은 작가가 온전한 자신의 언어로 과학사를 서술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학의 역사뿐만 아니라 과학의 내용에 대한 서술이 정확하면서도 이를 자기 고유의 언어로 풀어낸다는 느낌이 들었다.  - 티스토리 블로그 “성실한 과학철학 연구자”
이 책의 구성은 독특하다. 소설 속 한 장면이 제시되고 소설의 배경, 혹은 작가의 삶을 통해 과학과 우리 과학사를 재구성해서 알려 준다. 우리의 근대과학이 얼마나 불평등하게 출발했는지가 보이고 소설 작품들도 다르게 보인다. 덤으로 이 책을 읽으면 과학에 정이 없던 사람도 과학에 정이 간다. 갈릴레오의 살아남은 자의 아픔은 감동을 주고, 아인슈타인의 휘어진 공간은 신기하게도 나에게 환희를 남겼다.한편 이 책은 가슴 아프고 분노하고 울컥하게 한다. 과학기술에 짓밟힌 조선인의 눈물, 조선인 과학기술자의 삶, 합성섬유 비날론을 개발하고도 밤새도록 통곡한 리승기,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 이상. “이 책을 통해 과학을 느끼게 하고 싶었다. 감정적으로 느끼지 않고 무엇인가를 배울 수는 없다. (중략) 역사적 사실과 과학적 사실은 상식적 차원에 머물러 있는 우리의 생각을 바꾸고 세계를 바꿀 것이다.” (311~314쪽)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을 읽어야 하지 않을까.  - 나진영 (학이사독서아카데미 회원)

차례

개정판을 내며 『뉴턴의 무정한 세계』는 가슴으로 읽는 과학책이다 7 시작하며 우리는 왜 과학을 어려워할까? 12 1부. 뉴턴의 무정한 세계 1. 무정 20 우리는 과연 무식하다 20 도대체 우리에게 과학은 무엇이었나? 27 2. 기계, 인간의 척도가 되다 33 제국주의자들의 멸시와 조롱 37 사회진화론을 읽다 43 3. 근대과학의 핵심은 무엇인가? 49 갈릴레오, 살아남은 자의 아픔 55 천문학의 혁명에서 역학의 혁명으로 67 4. 우리는 뉴턴주의자다 73 프리즘을 든 고요한 얼굴의 뉴턴 75 사람은 사과와 함께 떨어지고, 사과와 함께 일어섰다 80 과학과 계몽주의, 모든 것이 밝아졌다 89 우리는 과학주의에 부당하게 상처 입었다 93 2부. 다윈의 잔인한 표본실 1. 표본실의 청개구리 102 오장을 빼앗긴 개구리는 진저리를 치며 102 번역, 의도적인 오역 105 2. 잃어버린 고리를 찾아서 112 인간이 되기를 성공적으로 이룬 원숭이 121 3. 악마의 사도, 찰스 다윈 130 나의 삶은 서서히 진화해 왔다 133 생명의 나무를 그리다 141 4. 『종의 기원』, 종교와 철학을 뒤엎다 152 인간의 기원에 한 줄기 빛이 비칠 것이다 158 자연에는 목적이 없다 167 3부. 에디슨의 빛과 그림자 1. 소설가 구보씨의 하루 178 전차 안에서 178 전기는 밥이나 물과 같은 필수품이다 183 2. 노동자 과학자, 패러데이 189 힘의 선이 공간에 펼쳐져 있다 194 맥스웰, 방정식으로 전자기파를 나타내다 198 3. 에디슨은 발명왕인가, 사기꾼인가? 203 전자기학, 과학과 기술을 융합시키다 202 거대한 전기 기술시스템을 건설한 멘로파크의 귀재 209 전류전쟁과 전기사형의자 214 4. 공장의 기계는 우리의 피로 돌고 223 과학 연구는 다른 민족에게 맡기고 그 성과만 조선에 이식하겠는가! 231 4부. 아인슈타인의 휘어진 시공간 1. 날개 244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 244 건축무한육면각체 253 오감도 257 2. 아인슈타인의 휘어진 시공간 262 원자를 눈으로 보기 262 빛줄기와 함께 달리기 267 E=mc2과 중력, 그리고 우주 269 불확정성 276 3. 일본 노벨상의 주역, 유카와 281 일본의 물리학이 세계적 수준에 오르기까지 283 보이지 않는 것의 발견 294 4. 한 번만 더 날아보자꾸나 300 마치며 310 주 315

지은이

정인경
과학저술가,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에서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문화의 식민지성〉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 과학기술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활동했다. 작가로서 우리가 원하는 과학기술을 말과 글에 담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한겨레신문에 〈정인경의 과학 읽기〉 칼럼을 오래 연재했다. 저서로는 『모든 이의 과학사 강의』, 『통통한 과학책 1, 2』, 『과학을 읽다』, 『내 생의 중력에 맞서』 등이 있고, 고등학교 『과학사』 교과서 집필을 통해 청소년들이 한국의 문화적 토양에서 과학기술을 배우도록 돕고 있다.